과하마 · 반어피 · 단궁 · 방직기술 - 동예 경제(기술 및 특산물) :: 동예 역사 - 3
: 동예 경제(기술 및 특산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예 경제 - 특산물 및 기술
과하마 · 반어피 · 단궁 / 방직기술
동예(東濊)는 토지가 비옥하고 해산물이 아주 풍부해 농경, 어로등 경제생활이 매우 윤택하였다.
명주와 삼베 등의 방직기술이 매우 발달했으며 특산물로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었다.
① 과하마(果下馬) : 과일 나무 밑을 지나갈 수 있는 키 3척의 말
② 반어피(班魚皮) : '반어피'는 수·당대 이후로 해표(바다표범)의 가죽이라고 하였다.
③ 단궁(檀弓) : 활
④ 명주(비단)와 삼베 : 방직 기술이 발달
※ 참조자료
<후한서 권85 동이전>
樂浪檀弓出其地. 又多文豹, 有果下馬[四], 海出班魚, 使來皆獻之.
*[四]高三尺, 乘之可於果樹下行.)
: 낙랑의 단궁(檀弓)이 그 땅에서 산출된다. 또한 무늬 있는 표범이 많고 과하마(果下馬)가 있으며 바다에서는 반어(班魚)가 산출되는데 사자가 와서 이를 모두 헌상한 일이 있다
*[4]키가 3척이라 이 말을 타고 과일나무 아래를 지날 수 있다.
동예 동예풍속 동예 풍속풍속 풍습 동예풍습동예 풍습 가족공동무덤 매장제도고대 무덤 고대 매장 제도 시체임시매장 곽 안치하다 목상과하마 반어피 동예 과하마동예 반어피 동예 단궁동예 방직기술 동예 경제동예 역사 단궁 명주 비단삼베 동예 특산물 동예 삼베낙랑 낙랑 단궁 반어 果下馬班魚 檀弓 바다표범 해표농경 어로 경제생활 해산물토지 토지 비옥 한국사한국 역사 국사 국사문제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