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화강 유역 - 부여 세력 범위 :: 부여 영토 - 1
길림성을 휘감고 있는 송화강
: 부여의 세력범위는 다음과 같다.
송화강 유역 - 부여 세력 범위
송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사방 2천리
부여의 세력 범위는 송화강 유역(평야와 초원지대가 혼재)을 중심으로 영토는 사방 2천리이며 호(戶 : 가구)는 8만호(3세기경)로 추정하고 있다.
*부여는 만리 장성 이북의 현도군 북쪽 1000리(1理 = 0.392727km > 1000理 = 392.727km )에 있었다 [사료 : 한원(翰苑) 1]
부여의 영토 범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료들에 의해서 그 세력 범위를 짐작할 수 있다.
① 동쪽
: 부여는 동쪽으로 읍루(挹婁 : 읍루는 숙신의 후예이자 말갈의 전신이다.)와 접하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의 읍루는 부여의 예속국이었으므로 읍루의 동쪽인 현재의 연해주 일대까지 부여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
② 서쪽
: 부여는 서쪽으로는 오환( BC 3세기말 ~ BC 1세기), 기원전 1세기부터 5세기까지 선비(鮮卑)와 접하고 있었다.[사료 : 한서(漢書) 2]
③ 북쪽
- 부여는 북쪽으로 약수(弱水)와 접하였다. 3[사료 : 후한서(後漢書)]
한원(翰苑)
: 중국 당나라 고종 현경5년(660년) 이전에 장초금(張楚金)이 저술하고, 송나라 시절에 옹공예(雍公叡)가 주석을 붙인 유서(類書)이다. 본래 30권이나 현재는 번이부(蕃夷部) 1권만이 일본 후쿠오카시 다자이후 덴만구(太宰府天滿宮)에 전한다.
太宰府天滿宮
부여 영토 부여 위치 부여 송화강송화강 송화강 유역부여 세력 범위 부여 평야만주 만주 평야 한원중국 당나라 당나라 고종당나라 고종 현경 660년 장초금張楚金 송나라 옹공예雍公叡 類書 蕃夷部太宰府天滿宮 후쿠오카시다자이후 덴만구 읍루 말갈숙신 연해주 부여 예속국挹婁 2천리 1000理 1리십리 10리 0.392727km현도군 부여 역사 한국사국사 대한민국 역사 정부한서지리지 한서 漢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