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부족 연맹체 - 왕 + 사출도(마가, 우가 , 저가, 구가) :: 부여 정치 - 1
: 부여의 정치 통치 체제는 다음과 같다.
5부족 연맹체 - 왕 + 사출도(마가, 우가 , 저가, 구가)
5부족 연맹체(왕, 마가, 우가 , 저가, 구가 )
부여의 정치 통치체제는 왕(임금) 아래에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北), 우가(東) , 저가(西), 구가(南)의 동서남북을 독자적으로 통치를 하는 지방 분권적 정치를 하였다.
① 중앙 - 왕(王) + 관리(대사자 : 大使者 ·사자 : 使者)
: 각 부족장에 의해 추대되어 왕의 직을 돌아서 수행하며, 흉년이 들면 왕의 책임을 묻는다. 심한 경우에는 사형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곧 왕의 권한이 약한 연맹왕국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하지만 군주가 나온 대표 부족의 세력은 매우 강해서 궁궐, 성채, 감옥, 창고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1
② 지방 - 동서남북 : 사출도(四出道)
⑴ 동(東) - 우가(牛加 : 소) + 관리(대사자 : 大使者 ·사자 : 使者)
⑵ 서(西) - 저가(猪加 : 돼지) + 관리(대사자 : 大使者 ·사자 : 使者)
⑶ 남(南) - 구가(狗加 : 개) + 관리(대사자 : 大使者 ·사자 : 使者)
⑷ 북(北) - 마가(馬加 : 말) + 관리(대사자 : 大使者 ·사자 : 使者)
※ 가(加)
'가'는 북방계언어에서 '칸' 또는 '간'에서 ㄴ이 탈락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자에서 음만 빌려온 것이다. 북방계언어(예:몽고어) '간'은 높은 사람 또는 지배자의 의미를 지녔다. 칭기즈칸의 '칸'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우가, 저가, 구가, 마가는 각각의 가축을 많이 길렀던 부족의 우두머리이다.
(四出道) 5부족 연맹체 使者加 四出道 大使者 牛加狗加 猪加 馬加 가축감옥 개 구가 국사궁궐 대사자 대한민국역사동서남북 돼지 마가 말몽고어 부여 역사 부여 정치부여 정치 체제 부여 통치 체제부여역사 부여왕 부여정치부여정치체제 북방계언어 사자사출도 성채 소 왕우가 저가 중앙 지방지방분권 지방자치제 지배자창고 출도 칭기즈칸 한국사한자 부여 5부족
- 진수(3세기),《삼국지》〈卷30 烏丸鮮卑東夷傳〉 “有宮室、倉庫、牢獄。”(궁궐, 창고, 감옥이 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