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I 옥저·동예/II 동예 정치
후(侯)·읍장(邑長)·삼로(三老) - 동예 정치 지배층 :: 동예 역사 - 2
^___^
2014. 10. 6. 15:46
후(侯)·읍장(邑長)·삼로(三老) - 동예 정치 지배층 :: 동예 정치 - 1
: 동예 정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후(侯)·읍장(邑長)·삼로(三老) - 동예 정치 지배층
후(侯)·읍장(邑長)·삼로(三老) 중심
동예(東濊)는 군주가 없었으나 북방민족이 들어오면서 옥저의 삼로(三老)와 같이 후(侯) · 읍장(邑長) ·삼로(三老)의 관명을 사용하며 백성을 다렸다.
※ 참조자료
<후한서 권85 동이전>
無大君長, 其官有侯、邑君、三老. 耆舊自謂與句驪同種, 言語法俗大抵相類.
(‘대군장(大君長)은 없고 그 관직으로는 후(侯), 읍군(邑君), 삼로(三老)가 있다. 노인이 스스로 말하길 구려(句驪)와 동종(同種)이라고 하는데, 언어와 법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동예 동예풍속 동예 풍속풍속 풍습 동예풍습동예 풍습 가족공동무덤 매장제도고대 무덤 고대 매장 제도 시체임시매장 곽 안치하다 목상후 侯 邑長 읍장 삼로三老 동예 정치 지배층 동예 정치동예 지배층 無大君長 其官有侯邑君 耆舊自謂與句驪同種言語法俗大抵相類 句驪同種후한서 후한서 권85후한서 권85 동이전 동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