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왕(帶素王) - 부여 대소왕 (생사년 ?~ AD22 / 재위년 BC24~AD22) :: 부여왕 - 4
: 부여 대소왕(帶素王)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여 대소왕(帶素王)
부여의 4번째 왕
- 재위 : BC24 ~ AD22
- 왕호 : 대소왕(帶素王)
- 이름 : 해대소(解帶素)
- 아비 : 금와왕(金蛙王)
- 형제 : 추모(鄒牟), 갈사왕(曷思王)을 비롯한 7형제
대소왕(帶素王)은 금와왕(金蛙王)의 7형제 중 첫번째 아들 즉, 장자(長子)이다.
1. 대소왕(帶素王)과 추모(鄒牟)와의 관계
금와왕(金蛙王)의 아들은 모두 7형제였는데 그 중 서자였던 추모(주몽)가 용맹과 지혜가 가장 밝아 대소를 비롯한 6형제가 모두 추모를 시기하였다.
대소가 나중에 추모가 나라의 근심이 될것이니 금와왕(金蛙王)에게 죽일 것을 청하였으나 금와왕이 이를 거부하자 대소는 추모를 죽이려고 시도했고 결국 추모는 BC37년 부여를 탈출하여 남쪽으로 내려가 졸본부여(훗날 고구려)를 건국하게 되었다.
금와왕(金蛙王)이 추모가 고구려를 건국한 지 14년이 지난 뒤에 사망하자 BC24년에 대소가 왕으로써 즉위하여 대소왕(帶素王)이 되었다.
※ 부여 대소왕(帶素王)과 고구려의 적대 관계
대소는 고구려와 적대하였다. BC 6년에 인질을 교환하고 화친할 것을 고구려에 강요하였다. 당시 유리명왕이 부여국력을 무서워하여 태자인 도절을 인질로 보내려하였으나 태자가 거부하여 인질교환이 결렬되자 대소는 5만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하였으나 큰눈으로 동사자가 많이 발생 성과없이 퇴각하였다.
BC 37 - 대소의 추격을 뿌리치며 추모 부여를 탈출하여 졸본에 이르러 졸본부여(훗날 고구려)를 건국함.
BC 24 - 대소 부여왕 즉위(금와왕이 사망)
BC 06 - 대소 부여왕 고구려 유리명왕(추모(동명성왕)의 아들)에 인질 교환 및 화친할 것을 강요 후 고구려 1차 침공
AD 09 - 대소 부여왕 고구려 유리명왕에 복속을 재종용하였으나 태자 무휼(無恤 :대무신왕)의 외교 담판으로 사신을 물러케함
AD 13 - 대소 부여왕 고구려 2차 침공 : 태자 무휼(無恤)에 의해 학반령(鶴盤嶺)에서 복병으로 공격당해 대패를 함.
AD 20 - 대소 부여왕 고구려 대무신왕(유리명왕의 아들 : 태자 무휼(無恤))에 서신을 보내 위협하였으나 후회
AD 21 - 대소 부여왕 고구려 대무신왕의 침공을 당함
AD 22 2월 - 대소 부여왕 고구려 대무신왕에 의해 부여 남쪽을 침공당하여 고구려 괴유(怪由)장수에게 전사당함. 부여가 이 전쟁에서는 승리하였으나 왕을 잃은 부여가 혼란에 빠져 국력이 크게 약화되고 나라가 분열됨.
한국역사 부여 대소왕 대소왕帶素王 부여대소왕 鄒牟추모 대소와 추모 졸본부여졸본 부여 고구려 갈사부여백제 부여 고구려 유리명왕유리명왕 태자 무휼 무휼無恤 대무신왕 학반령鶴盤嶺 고구려 건국졸본부여 건국 유리명왕 아들대무신왕 아들 동명성왕 아들대무신왕 무휼 괴유장수고구려 장수 고구려대학고구려왕 계보 전사 대소왕 전사금와왕 부여 금와왕부여 금와왕 사망 부여 고구려 전쟁해대소 解帶素 曷思王갈사왕 대소왕 생사년대소왕 즉위년 대소왕 재위기간부여건국 부여멸망
'역사 I 부여 > II 부여 왕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두왕(都頭王) - 부여 도두왕 (생사년 미상 / 재위년 ? ~ AD68년) :: 부여왕 - 6 (0) | 2014.10.05 |
---|---|
갈사왕(帶素王) - 부여 갈사왕 (생사년 미상 / 재위년 AD22 4월 ~ ?) :: 부여왕 - 5 (0) | 2014.10.04 |
금와왕(金蛙王) - 부여 금와왕 (재위년 BC60년경~BC20년경) :: 부여왕 - 3 (0) | 2014.10.03 |
해부루(解夫婁王)왕- 부여 해부루왕 (재위년 ?~BC60년경) :: 부여왕 - 2 (0) | 2014.10.03 |
동명왕(東明王) - 부여 동명왕 (생사년 / 재위년 미상) :: 부여왕 - 1 (0) | 2014.10.02 |